본문 바로가기
우리집 막둥이

강아지가 주인을 사랑하지 않을 때 보이는 행동들

by 2봄날 2025. 5. 2.
반응형

강아지도 감정이 있습니다.
기쁨, 두려움, 슬픔, 짜증… 그리고 때로는 무관심.
모든 강아지가 보호자를 사랑하는 건 아니며, 관계에 따라 거리감이나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혹시 우리 강아지가 이런 행동을 하고 있다면, 지금 관계를 다시 한번 돌아볼 때일지도 모르겠네요.

주인을 사랑하지 않을때 하는 강아지행동

1. 부르면 오지 않는다 


강아지를 불렀는데 무반응, 혹은 뒤돌아서는 모습을 보인다면?
단순히 기분이 나쁜 걸 수도 있지만,
지속적으로 그런 반응을 보인다면 신뢰 부족의 신호일 수 있어요.

2. 눈을 마주치지 않는다 


사람과 눈을 마주치는 건 강아지에게도 신뢰의 표현입니다.
하지만 시선을 회피하거나 눈을 깜빡이며 고개를 돌린다면
불편함이나 두려움을 느끼고 있는 걸 수 있어요.

3. 몸을 만지려고 하면 피한다 


강아지가 만지는 걸 싫어하고 몸을 피하거나 물려고 한다면,
그건 단순한 장난이 아니라 불신과 거부감을 드러내는 신호예요.
특히 자주 쓰다듬는 부분(머리, 배)을 거부한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4. 혼자 있으려고 한다 


보통 강아지는 보호자 곁을 좋아합니다.
하지만 계속 혼자 있으려 하거나
같은 공간에 있어도 거리를 두려 한다면
심리적 거리감이 생긴 상태일 수 있어요.

5. 음식을 줄 때도 경계한다 


보호자가 주는 간식도 쉽게 먹지 않거나,
경계하는 눈빛으로 쳐다보며 머뭇거린다면
이건 사랑이 부족한 게 아니라 불신이 쌓인 상태입니다.
이때 억지로 다가가면 오히려 더 거리를 두게 돼요.

6. 갑자기 짖거나 으르렁댄다 


강아지가 보호자를 향해 짖거나 이빨을 드러내는 건
공격적이거나 위협적인 신호입니다.
과거에 무서운 경험이나 학대가 있었다면,
사랑 대신 방어심리로 행동하게 됩니다.

7. 꼬리를 내리고 귀를 젖힌다 


이 자세는 겁을 먹었거나 극도로 불안한 상태입니다.
강아지가 이런 모습을 자주 보인다면
단순히 긴장이 아니라 공포를 느끼고 있다는 신호예요.
주인이 사랑의 대상이 아닌, 공포의 존재로 여겨질 수도 있습니다.

강아지가 거리를 두는 진짜 이유는?

강아지가 당신을 싫어해서 이런 행동을 하는 건 아닐 수 있어요.
오히려 신뢰 부족, 일관성 없는 행동, 학습된 무력감 때문일 가능성이 높죠.

✔️ 갑작스러운 화,
✔️ 꾸짖기만 하고 칭찬은 없는 훈육,
✔️ 일관성 없는 반응 등이
강아지의 마음을 닫게 만듭니다.

관계 회복을 위한 팁

  • 강아지의 공간을 존중하세요.
  • 억지로 다가가지 마세요.
  • 천천히, 부드럽게, 꾸준히 신뢰를 쌓아가세요.
  • 칭찬과 간식을 적절히 활용하세요.
  • 필요한 경우 반려동물 행동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아요.

강아지는 솔직한 동물이예요. 사랑하면 표현하고, 불편하면 회피하죠.
우리 강아지가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눈빛과 행동 하나하나를 유심히 살펴보는 것,
그게 진짜 강아지를 사랑하는 마음 아닐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