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끝나고 무더운 여름이 시작되었습니다. 피부가 따가우리만큼 강한 햇빛으로 바깥 활동이 쉽지 않습니다. 햇빛이
강한 여름에는 자외선 지수가 높아져 피부건강을 위해 자외선 차단제, 즉 선크림을 잘 발라야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 모르는 올바른 선크림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자외선이란?
그럼 먼저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자외선이란 대체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자외선이란 태양에서 날아오는 전자기파로 가시관선보다 짧은 파장으로 우리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사람의 피부에 닿으면 피부를 태우기도 합니다. 살균작용이 있으며 과도하게 피부에 노출될 경우 피부암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자외선은 UA-A, UA-B, UA-C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되며 UA-C는 오존층에 완전히 흡수되고 UA-B는 대부분이 오존층에 흡수됩니다.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는 일부 UA-B와 UA-A는 지구 표면에 도달하여 지구상의 생물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대기 중에 있는 오존층이 대부분의 자외선을 차단해 주지만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대기권의 오존층이 얇아져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복사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현대 사회에서는 자외선 차단제라 필수라 할 수 있습니다.
2. SPF지수와 PA지수
시중에는 다양한 자외선 차단제를 볼 수 있습니다. 흔히 적혀있는 SPF와 PA를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SPF지수란 Sun protection factor의 약자로 자외선 중 UV-B를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자외선의 양이 1이라고 할 때 지수가 15인 제품을 바르게 되면 피부에 닿는 자외선의 양이 15분의 1로 줄어든다는 의미로 지수가 높을수록 차단 기능이 좋은 제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SPF지수는 15 정도면 평상시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지만 햇빛이 강한 여름철 야외활동 시에는 SPF지수 30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A지수란 Protection grade of UV-A의 약자로 UVA차단 효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지수는 숫자가 아닌 +의 개수로 표시합니다. +가 한 개씩 늘어날 때마다 2~4배의 효과 차이가 있습니다. PA+는 자외선 A의 차단효과가 낮은 편이며 PA++은 보통, PA+++이상은 차단효과가 높은 편으로 일상생활을 할 때에는 PA++제품도 무방하지만 여름철에는 PA+++이상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자외선차단제 사용방법
대부분의 사람들은 외출 시 오전에 한 번 바르고 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방법입니다. 자외선차단제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피부에 충분한 보호를 위해서는 외출 전 20분~30분 전에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2~3시간 간격으로 발라주는 것이 좋으며 땀을 흘리거나 하는 경우에는 더 자주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성인을 기준으로 보면 팔과 다리에 각각 5ml 정도를 발라주는 게 적당합니다. 한 번 짜게 될 경우 검지 손가락 한 마디 정도의 분량이 5ml 정도가 되니 바를 대 마다 한 번씩 짜서 발라주면 편하게 바를 수 있습니다. 햇빛에 노출되는 모든 부위에 꼼꼼하게 발라주는 것이 좋으며 바를 때 옷에 묻어 닦이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를 다른 크림 제품과 섞어 바르는 경우는 효과를 떨어트릴 수 있으니 가급적이면 따로 발라주시는 게 좋습니다.
일상생활을 할 경우에는 SPF20~30 정도의 PA++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며 여름이나 야외활동 시에는 SPF 30~50 이상, PA+++이상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고 오랜 시간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피부암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니 내 건강을 위해서 꼭 발라주는 게 좋을 듯합니다.
내 피부와 상황에 맞는 올바른 자외선 차단제 사용으로 올여름도 잘 견뎌내시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내일배움카드 당신의 미래를 위한 첫걸음 (2) | 2024.12.19 |
---|---|
05년생 19세 청년에게 주는 문화예술패스 (0) | 2024.08.02 |
맛있는 한우 반값세일 행사중 (0) | 2024.07.21 |
내 건강 챙기면서 정부에서 돈 받기 (0) | 2024.07.01 |
취약계층을 위한 수도세 감면 혜택 (0) | 2024.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