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집 막둥이

우리집 강아지, 하루 종일 잠만 자요! 혹시 아픈 걸까?

by 2봄날 2025. 8. 20.
반응형

반려견과 함께하다 보면 하루 대부분을 자는 강아지 모습을 보면서 "혹시 어디 아픈 건 아닐까?" 하고 걱정하는 보호자분들이 많습니다. 저희 집 강아지 ‘아리’도 산책을 거거나 외출을 하지 않을 때는 대부분 잠을 자고 있더라고요. 정말 이게 정상일까요? 저처럼 강아지를 처음 키우시는 분들이라면 이렇게 많이 자는 게 괜찮은 건지 걱정이 되실 텐데요

오늘은 강아지의 평균 수면시간부터 잠을 많이 자는 이유, 그리고 수면 부족이 불러오는 문제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강아지의 평균 수면시간

사람은 하루 평균 7~9시간 정도의 수면이 필요하지만, 강아지는 그보다 훨씬 긴 시간을 잠으로 보내게 됩니다.

  • 성견(성인 강아지): 하루 평균 12~14시간 수면
  • 퍼피(어린 강아지): 하루 평균 18~20시간 수면
  • 노령견(나이 많은 강아지): 하루 평균 16~18시간 수면

즉, 강아지가 하루의 절반 이상을 잠으로 보내는 건 매우 정상적인 행동입니다.
특히 실내 생활을 주로 하는 반려견은 자극이 적고 활동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잠을 더 많이 자는 경향이 있습니다.

TIP: 강아지가 깊은 숙면에 빠질 때는 꿈을 꾸기도 합니다. 다리를 파르르 떨거나 작은 소리를 내는 것도 정상적인 REM 수면의 한 과정이에요.

2. 강아지가 잠을 많이 자는 이유

강아지가 잠을 많이 자는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단순히 "게으른 성격" 때문이 아니라 생리적·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2-1. 에너지 충전

강아지는 사람처럼 길게 깊게 자지 않고, 짧게 자고 자주 깨는 수면 패턴을 갖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루 중 여러 차례 긴 휴식을 하여야 에너지를 보충할 수 있어요.

2-2. 성장과 발달

특히 퍼피(어린 강아지)는 자라는 동안 성장 호르몬이 수면 중에 활발히 분비됩니다. 충분히 자야 뼈와 근육, 면역 체계가 제대로 발달할 수 있어요. 이건 강아지나 사람이나 똑같네요.

2-3. 노령화

나이가 들수록 체력이 약해지고 활동량이 줄어듭니다. 때문에 노령견은 하루 대부분을 쉬거나 잠으로 보내는 게 일반적입니다.

2-4. 환경적 요인

산책이나 놀이가 부족하면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잠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반려견이 활동적인 시간을 충분히 가지지 못한다면 수면 시간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2-5. 건강 문제

평소보다 지나치게 많이 자고, 동시에 식욕 저하, 체중 감소, 무기력함이 동반된다면 건강 이상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동물병원을 찾아 수의사의 진료를 받아보는 게 안전합니다.

3. 잠이 부족하면 생길 수 있는 문제

반대로 강아지가 충분히 자지 못한다면 건강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면역력 저하 → 잔병치레가 잦아지고 쉽게 아플 수 있음
  • 스트레스 증가 → 예민해지거나 이유 없이 짖음, 공격성 등이 나타남. 심하면 우울증이 오기도 함
  • 행동 문제 → 집중력이 떨어지고 훈련 효과가 낮아짐
  • 성장 지연 → 어린 강아지는 성장 속도가 더뎌질 수 있음

TIP: 강아지가 편히 잘 수 있도록 조용하고 안정된 공간을 마련해 주세요. 사람의 생활 소음이 많거나 불빛이 강한 환경에서는 숙면을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 집 아리처럼 잠을 많이 자는 건 대부분 정상적인 행동입니다. 강아지는 사람보다 훨씬 많은 수면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돼요. 하지만 평소와 달리 활력이 없거나, 밥을 잘 안 먹거나, 갑자기 수면 패턴이 달라졌다면 건강 문제일 수 있으니 수의사의 진료를 권장합니다.

반응형